본문 바로가기
구글스프레드시트

[구글스프레드시트] 구글파이낸스를 통해 환율을 참조하기

by datatribe 2025. 2. 4.

구글스프레드시트의 장점은 웹기반이라는 것입니다.

별도의 설치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으면서도, 웹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커다란 장점입니다.

예를 들자면 환율 정보를 구글스프레드시트에서는 바로바로 참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아주 큰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.

구글스프레드시트에서는 소위 구글파이낸스라는 기능을 통해 환율정보 및 주식 정보 등을 참조할 수 있는데요, 환율 참조를 위한 구글 파이낸스의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오늘의 달러 환율 : GOOGLEFINANCE("USDKRW")

구글스프레드시트를 열고 위와 같이 수식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오늘의 달러 환율을 구글스프레드시트에서 참조할 수 있습니다.

구글스프레드시트에서 오늘의 환율을 참조

수식의 문법을 보시면 USDKRW 라고 화폐단위를 2개 나열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. 위 수식의 의미는 1달러 당 원화 가치를 보여달라는 말입니다.

만약 KRWUSD 라고 하게 되면 당연하게도 1원 당 달러의 가치를 보여달라는 말이겠죠?

조금 응용한다면, "EURKRW" 혹은 "JPYKRW" 도 가능합니다. 가끔 JPY를 JYP로 오기하는 경우가...

만약 오늘의 환율이 아닌 특정 시점의 환율을 참조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GOOGLEFINANCE("USDKRW","CLOSE","특정일자")

위와 같이 "CLOSE"와 "특정일자"를 추가해주시면 되겠습니다.

구글스프레드시트에서 구글파이낸스를 통해 특정일자의 환율을 출력

헌데 위 수식을 실행해보면 결과물이 위와 같이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1셀에 출력이 되지 않을겁니다.

표 형태로 해당 일자와 종가를 출력하고 있는데요, 이 부분을 Close 의 값인 1459.32 만 출력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수식을 수정하시면 됩니다.

INDEX(GOOGLEFINANCE("USDKRW","CLOSE","2025. 2. 4"),2,2)

INDEX 라는 함수를 통해 구글파이낸스의 결과값 중 일부만 출력한 것인데요, 결과는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.

위 INDEX 원리를 설명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

Date Close 1,1 1,2
2025. 2. 4 1459.32 2,1 2,2

위 수식에서 2,2 부분을 1,2 로 수정하게 되면 "Close" 라는 값을 출력하게 될겁니다.

다만, 본 구글파이낸스의 값은 시간이 지나며 일부 숫자가 변화되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.

Google Docs 편집기 고객센터를 참조하시면 더욱 자세한 옵션에 대해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.

Google Docs 편집기 고객센터 내 속성 설명 발췌

구글파이낸스를 통해 환율 정보만 참조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주식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말씀드렸습니다.

구글파이낸스를 이용해 삼성전자 주가를 참조

위 함수의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
GOOGLEFINANCE("종목코드","price")

종목코드는 주식하시는 분들은 잘 아실 것이고, price는 위 옵션 설명을 참조해보신다면 "실시간 가격 정보로 최대 20분 까지 지연됩니다" 라고 합니다.

만약 특정일자의 종가를 참조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수식을 작성하시면 됩니다.

특정일자의 환율을 참조 할때와 마찬가지로 표 형태의 결과가 출력됩니다.

이럴때에는 INDEX 함수를 이용해 원하시는 좌표의 값을 가져오시면 되겠죠?

INDEX(GOOGLEFINANCE("005930","close","2025. 2. 3"),2,2)

이제 원하시는 대로 결과가 출력되는군요.

당연하게도 위 수식 중 날짜 부분은 변수화하여 다른 셀의 주소를 참조하여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
종목코드 부분도 당연하게 변수화가 가능합니다.

이렇게 변수화가 가능하다는 말은 이용자가 원하는 결과값을 얻기 위해 그때 그때 수식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변수를 조절하며 하나의 수식을 통해 원하는 값을 얻어 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

위와 같이 날짜 데이터 타입의 경우 실무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날짜를 잘 다루실 수 있어야 실무의 보고서를 잘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날짜 타입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.

감사합니다.